엑셀 2016은 이전 버전의 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구성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습니다. 다만 기능이 업그레이드되고, 명령 단추가 추가되어 헷갈릴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문서의 작업 속도를 향상시키고 일의 능률을 높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은 메뉴를 익혀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화면은 총 20가지로 구분하여 구성해보았습니다.




 

 엑셀 화면 구성 (1)

 


먼저 엑셀 화면의 위 쪽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번 부터 12번의 메뉴를 먼저 살펴보시겠습니다.


1번 [빠른 실행도구 모음 ]

자주 사용하는 도구를 모아놓은 곳입니다. 여기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도구를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를 잘 모르겠을 경우 이 부분에 추가하여 사용하면 보다 편리합니다.


2번 [제목 표시줄]

통합 문서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3번 [리본 메뉴 표시 옵션]

리본 메뉴의 탭과 명령 단추들을 모두 표시하거나 숨길 수 있습니다.


4번 [최소화], [최대화], [닫기], [이전 크기로 복원 단추]

화면을 최소화, 최대화, 닫기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모든 윈도우 프로그램이라면 모두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5번 [파일 탭]

파일을 열고 닫고, 저장, 인쇄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공유, 계정, 내보내기 등의 문서 관리도 가능합니다. 다양한 엑셀의 옵션도 지정할 수 있으니 살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번 [탭]

클릭하면 기능에 맞는 도구 모음이 나타납니다.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탭 이외에도 그림, 도형, 차트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그림 도구]를 클릭하거나 [표 도구]를 클릭하면 해당 기능에 맞는 탭이 추가로 나타납니다.


7번 [설명 상자]

엑셀 2016 기능에 대한 도움말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영문 명은 'Tell Me'입니다.


8번 [공유]

해당 문서를 작업하고 있는 사용자를 확인하고 공유 옵션을 지정할 수 있는 창을 열 수 있습니다.


9번 [리본 메뉴]

선택한 탭과 관련된 명령 단추들이 비슷한 기능별로 묶인 몇 개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0번 [이름 상자]

셀 또는 범위에 작성한 이름이 표시됩니다. 


11번 [취소 단추], [삽입 단추], [함수 삽입 단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취소할 수 있고 [함수 삽입[ 단추의 경우 함수 맙버사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12번 [수식 표시줄]

셀에 입력한 데이터 또는 계산한 수식이 표시됩니다.










 

 엑셀 화면 구성 (2)

 


이제 여러분이 작성해야 하는 부분의 화면을 보시겠습니다.

13번 부터 20번의 메뉴를 먼저 살펴보시겠습니다.



13번 [시트 전체 선택]

워크시트의 전체 범위를 한 번에 빠르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14번 [행 머리글, 열 머리글]

행 머리글은 워크 시트에서 각 행의 맨 왼쪽에 표시되고 클릭하면 행 전체가 선택됩니다. 열 머리글은 워크시트에서 각 열의 맨 위에 표시되고 클릭하면 열 전체가 선택됩니다.


15번 [워크시트]

열과 행으로 구성된 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데이터를 작업하는 공간으로, 항상 통합 문서에 저장됩니다.


16번 [스크롤바]

마우스로 가로로 또는 세로로 드래그하여 워크시트의 화면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17번 [시트 이동 단추]

시트의 이름을 스크롤할 때 사용합니다. [Ctrl]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 왼쪽 단추를 누르면 처음 시트와 마지막 시트로 스크롤하고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누르면 [활성화] 대화상자가 열리면서 모든 시트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18번 [시트 탭]

기본적으로 워크시트의 이름은 [Sheet 1] ~ [Sheet 번호]로 생성됩니다. 여기서 [F2] 혹은 이름 변경을 해주면 사용자가 이름을 직접 지정해줄 수 있습니다.


19번 [화면 보기 단추]

원하는 문서 보기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단추입니다. [기본] 보기, [페이지 레이아웃] 보기, [페이지나누기 미리보기] 등으로 화면 보기상태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20번 [확대/축소 슬라이드바]

슬라이드바를 드래그하여 화면 보기 비율을 10~400%까지 확대 또는 축소가 가능합니다. 여기서 100%라고 써 있는 비율 부분을 클릭하면 확대/축소 대화상자를 열고 비율을 직접 작성해줄 수 있습니다.




오피스 프로그램인 엑셀 2016의 주요 기능은 문서 공유와 저장을 위한 클라우드 기반의 협업 및 생산성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어떤 장치를 사용하든지 여러 사람들과 공동으로 문서를 작업할 수 있는 스마트워크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윈도우 10에서는 모바일 엑셀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모바일에서도 작업할 수 있으니 정식 버전의 엑셀 프로그램이 없어도 언제 어디서든 엑셀 문서를 자유롭게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엑셀의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여러가지 기능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해당 기능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셀 도움말 검색하기

 


엑셀 2016을 사용할 때 처음 쓰시거나 새로운 2016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게 있다면, 도움말의 힘을 빌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엑셀 2016은 검색창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원하는 정보나 기능에 대한 동무말이 검색되어 궁금증을 해결하도록 도와줍니다.







여기서 먼저 [요약]을 입력해서 [추천 피벗 테이블]을 클릭해보도록 합시다.

만약 아래와 같이 아무런 내용이 입력되어 있지 않다면, 다음과 같은 [데이터 원본 선택] 탭이 나타날 것입니다.







만약 아래와 같이 내용이 입력되어 있다면!!






다음과 같이 [권장 피서 테이블] 탭이 켜지게 됩니다.







 

 스마트 조회로 검색한 내용 삽입하기

 


스마트 조회는 마치 도움말 검색과 같이 문서 작업 도중에 원하는 내용을 빠르게 검색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는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검색하는 기능을 조금 응용한 것으로 보이며, 검색을 통해 이미지나 글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만약 검색한 이미지 중에서 사용하고 싶은 이미지가 있다면 선택한 후에 셀로 드래그하여 끌어오기만 해도 곧바로 문서에 삽입됩니다. 스마트 조회는 설명 상자에서 실행하거나 셀에 입력된 내용을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눌러 [스마트 조회]를 선택해서 실행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예제를 보여드리려 합니다.


[검색창] -> [스마트 조회] 입력 후 클릭







그러면 다음과 같이 [정보 활용]이라는 탭과 함께 [확인]을 요청합니다.







이제 다음과 같이 [원하는 검색어 클릭] -> [스마트 조회 입력] -> [검색 결과 확인]과 같은 순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OneDrive를 이용한 공동 통합 문서 작업하기

 


엑셀 2016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OneDrive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OneDrive에 저장사여 문서를 저장한 후, 생성된 링크 주소를 복사하여 메일로 초대하거나 사용자 편집 권한을 부여하면 공동으로 문서를 수정하고 편집할 수 있습니다.


만약 OneDrive를 이용하여 마이크로오피스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니 다음 링크를 확인하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윈도우즈 10] 오피스 프로그램 없을 때 원드라이브로 마이크로오피스 사용하기(PPT, Excel, Word, OneNote) 링크







 

 새롭게 추가된 분석 차트들 이용하기

 


아래에서는 네 가지만 나타나 있지만 실제로는 여섯 가지의 새로운 차트가 추가되었습니다.


추가된 차트[트리맵 차트], [선버스트 차트], [파레토 차트], [폭포 차트], [수염 상자 그림 차트], [히스토그램 차트]가 있습니다.


분석 차트는 데이터를 시각화해서 보여주기 때문에 글로 작성하는 것보단 단연 돋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여러분이 전달하고자 하는 핵심을 보다 강조할 수도 있겠습니다.








 

 3D 맵 활용 및 지리적 데이터 표시하기

 


사실 제가 가장 강조하고 싶은 내용이었는데, 가장 마지막에 소개해드리네요.


아래의 그림과 같이 아주 멋진 그래프 모양이 나타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엑셀용 3D 맵 2016버전부터 제공되며, 새로운 방법으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3D(3차원) 데이터를 시각화해주는 도구를 지원해줍니다. 3D 맵을 사용하면 지구본이나 사용자 지정 지도에 지리 및 시간에 따른 데이터를 그리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그린 데이터를 스크린샷으로 캡처하여 문서에 삽입해줄 수도 있습니다.




+ Recent posts